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배틀필드 2042/병과 및 스페셜리스트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배틀필드 2042





1. 개요
2. 설명
3. 돌격병(Assault)
4. 공병(Engineer)
5. 보급병(Support)
6. 정찰병(Recon)


1. 개요[편집]


배틀필드 2042병과(Class)와 플레이어블 캐릭터 스페셜리스트(Specialist)를 설명하는 문서.


2. 설명[편집]


스페셜리스트는 특별한 설정이 없던 전작들의 병과 캐릭터를 대체하는 본작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이다.

모든 스페셜리스트들은 다양한 이유로 고향을 떠나 국적을 버리고 아이리쉬의 비송환자 선박 '엑소더스' 내 기동 부대에 합류하거나 협력했던 비송환자(No-Pats)라는 설정으로, 각각의 스페셜리스트는 각자의 이름과 배경, 고유 외형과 음성[1]을 가지고 있다. 교전국인 미국과 러시아의 지원을 대가로 비송환자들이 각 국가 편에 서서 용병처럼 대리전을 펼치는 설정이므로, 스페셜리스트는 진영에 관계없이 선택할 수 있고 진영별 장비 제한도 없다. 스페셜리스트의 수는 출시 시점에 10명, 이후 시즌 4까지 1명씩 추가되어 총 14명으로, 시즌 5부터는 더 이상 스페셜리스트가 추가되지 않는다.

스페셜리스트는 돌격병(Assault), 공병(Engineer), 보급병(Support), 정찰병(Recon)의 4가지 병과[2] 중 하나에 소속되어 있고, 각자 3번 슬롯에 배정되는 고유 장비인 특기(Specialty)[3]와 패시브 능력인 특성(Trait)을 한 가지씩 가지고 있다. 또한 병과 별로 5번 슬롯에 배정되는 고유 장비를 가진다.[4] 기존 병과 시스템과 달리 주무기와 보조무기 선택에 병과 제한이 사라져 자신이 원하는 무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, 병과별로 숙련 무기에 해당되는 카테고리가 있어 해당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무기 사용 중 추가 효과를 받을 수 있다. 그 외에 병과별 선택 제한이 있는 보조 장비 하나와 투척 장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.[5]

전작에서 도입된 소모전 요소가 폐기되어 자동 체력 회복 제한 및 예비 구급낭 시스템이 사라지고, 모든 스페셜리스트가 비전투 상태에서 자동 체력 회복이 최대치만큼 적용되고 최초 배치 시 탄약도 최대치를 소지한 상태로 배치된다.[6] 돌격병은 전용 장비인 IBA 아머 플레이트를 통해 최대 20까지 채울 수 있는 추가 체력인 방탄판을 추가할 수도 있다.[7] 방탄판은 몸통 부위로 들어오는 피해만 흡수하며, 그 외 부위로 들어오는 피해나 전기 등 일부 환경 피해는 흡수하지 못한다.

전작과 비슷하게 분대원끼리는 보급병이 아니더라도 상호작용 키를 눌러 주사기로 25의 체력을 채우고 소생시킬 수 있고, 보급병 스페셜리스트는 제세동기로 다른 아군들까지 최대 체력으로 각자의 특성 효과와 함께 소생시킬 수 있다.[8] 어떻게 소생을 받든 소생을 받은 직후 자동 체력 회복이 시작되기 때문에 안전한 곳에서 빠른 재정비가 가능하다. 참고로 소생 대기 시간이 끝난 후 재배치할 경우 별도의 대기 시간 없이 바로 배치할 수 있지만, 탑승장비 내부에서 사망하거나 뺑소니당하는 등 소생 대기가 불가능한 상태로 사망하거나 스스로 재배치를 선택한 경우 10초의 재배치 대기 시간이 적용된다.

배틀필드 V와 마찬가지로 스페셜리스트 외형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. 외형 요소는 커먼, 레어, 에픽, 레전더리 네 가지 등급과 머리 / 전투복[9]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지며 레전더리 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세 등급 외형들을 조합해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.[10] 진영 전용 외형이 사라진 탓에 외형적으로는 복장에 붙은 S&S V-Lite의 불빛 색깔을 빼면 피아식별 방법이 전무하지만, 피아식별 HUD가 눈에 덜 띄는 편은 아니고 자신이 아닌 다른 캐릭터들은 진영에 따라 반드시 영어/러시아어로 말하므로 이를 통해 구분할 수도 있다.

여담으로, 몇몇 스페셜리스트의 외모가 실제 배우들의 얼굴을 참고했는지 외모가 닮았다는 평이 꽤 있는 편.[11] 그리고 최초 10인 스페셜리스트들은 해군식 스킨이 플레이어 레벨 보상으로 있는 반면, 신규 스페셜리스트들은 해군식 스킨이 없다.


3. 돌격병(Assault)[편집]


파일:bf2042_assault.png
숙련 무기돌격소총
추가 탄창 3개
고유 장비구급 펜
보조 장비연막탄 발사기
IBA 아머 플레이트
C5 폭탄
M18 클레이모어
SPH 폭발탄 발사기
투척 장비파편 수류탄
뇌진탕 수류탄
연막탄
소이 수류탄
투척 나이프
소속 스페셜리스트
파일:bf2042_sundance_icon.svg엠마 "선댄스" 로지에
Emma "Sundance" Rosier
파일:bf2042_dozer_icon.svg산티아고 "도저" 에스피노자
Santiago "Dozer" Espinoza
파일:bf2042_mackay_icon.svg웹스터 멕케이
Webster Mackay
파일:bf2042_zain_icon.svg라시드 자인
Rasheed Zain
||

전문 단계 달성 조건
도보 이동 중 처치
T5T4T3T2T1
2505001,0002,5004,500

전선을 장악하고 싶으신가요? 추가 AR 탄약과 자가 치유 장비를 갖춘 돌격병은 공격 주도에 특화된 병과입니다. 멕케이, 도저, 선댄스, 자인의 전문 병과인 돌격병은 특유의 공격력으로 팀원에게 목표를 향해 전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합니다. 또한 돌격병은 폭파 장비로 적의 방어선과 차량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경로를 개척할 수 있습니다.


대인전 및 거점 공격, 기습에 특화된 병과.

세계대전 시리즈의 돌격병이 대인전과 대전차전을 모두 담당했던 것과 달리 본작에서는 병과 성격이 현대전 시리즈의 돌격병처럼 대인전 중심으로 바뀌었는데, 치료 및 소생 능력은 보급병으로 옮겨가 순수 대인전 중심 병과가 되었다.[12] 2042 특성상 모든 무기를 모든 병과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유일하게 돌격소총을 사용한다는 메리트는 사라졌으나, 여전히 구급 펜, 아머 플레이트 등의 전용 장비와 탄창 3개분이 더 주어지는 돌격소총 숙련 무기 효과를 활용해 대인전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. 단점은 역시 최전선에서 싸우는 만큼 생존력이 타 병과에 비해 낮은 편이라 무한정 단신 전투가 불가능한데, 때문에 보급병의 병참, 공병의 대기갑 화력, 그리고 정찰병의 탐지 등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병과이다.

4. 공병(Engineer)[편집]


파일:bf2042_engineer.png
숙련 무기경기관총
앉거나 엎드린 상태의 명중률 개선
고유 장비수리도구
보조 장비대전차지뢰
무반동 M5
FXM-33 대공 미사일
C5 폭탄
FGM-148 재블린
EOD 봇
투척 장비파편 수류탄
연막탄
EMP 수류탄
소이 수류탄
소속 스페셜리스트
파일:bf2042_boris_icon.svg피오트르 "보리스" 구스코프스키
Pyotr "Boris" Guskovsky
파일:bf2042_lis_icon_.svg에벨리나 리즈
Ewelina Lis
파일:bf2042_crawford_icon.svg찰리 크로포드
Charlie Crawford
||

전문 단계 달성 조건
도보 이동 중 폭발물 피해량 및 수리도구 수리량
T5T4T3T2T1
2,50015,00030,00060,000120,000

뛰어난 수리 기술을 보유한 공병은 전투 차량을 이용한 작전에 매우 중요한 병과입니다. 보리스, 크로포드, 리즈의 전문 병과인 공병은 원거리에서 적 차량을 파괴하고 구역을 강화하며 팀원이 목표를 사수할 수 있는 유용한 장비를 제공합니다.


거점 방어, 진지 구축, 대전차전에 특화된 병과.

현대전 시리즈의 공병과 같은 대전차전 및 탑승장비 수리를 담당하며, 스페셜리스트의 특기를 통한 거점 방어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. 기본적으로 보너스가 있는 경기관총 역시 숙련 효과와 함께 양각대를 거치하여 높은 화력, 연사력, 집탄률, 장탄수를 앞세워 거점 방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. 다만 경기관총은 달리다가 사격할 때의 딜레이가 가장 크다는 단점이 있고, 특기 및 병과 장비도 주로 설치형이거나 로켓 런처라 돌격시 사용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최전선에서 활개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.


5. 보급병(Support)[편집]


파일:bf2042_support.png
숙련 무기기관단총
전개 시간 감소
고유 장비제세동기
보조 장비탄약 상자
구급상자
탄입대
구급낭
연막탄 발사기
M18 클레이모어
투척 장비파편 수류탄
연막탄
EMP 수류탄
소이 수류탄
소속 스페셜리스트
파일:bf2042_irish_icon.svg킴블 "아이리쉬" 그레이브즈
Kimble "Irish" Graves
파일:bf2042_falck_icon.svg마리아 팔크
Maria Falck
파일:bf2042_angel_icon.svg콘스탄틴 "엔젤" 앙헬
Constantin "Angel" Anghel
||

전문 단계 달성 조건
아군 소생
T5T4T3T2T1
502505001,0002,000

전투에서 오래 생존하고 싶다면 보급병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 탄약을 회수하고 팀원을 소생시키며 제압 장비를 제공하는 보급병은 팀원이 전투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게 도와 줍니다. 팔크, 엔젤, 아이리쉬의 전문 병과이기도 합니다.


치유나 보급 등의 아군 병참지원 및 전선유지에 특화된 병과. 다른 병과는 같은 분대원끼리만 소생이 되는 것과 달리 공통적으로 팀의 모든 아군을, 더 빠른 속도로 소생할 수 있다.

전작을 비롯한 정식 넘버링 시리즈들에서 보급병(Support)은 탄약 보급을 전담했으나, 본작에서는 세계대전 시리즈의 의무병 및 현대전 시리즈의 돌격병이 하던 팀원 치유 및 소생도 수행하는 등 전반적으로 역할이 확장 되었다. 덕분에 한 명만 있어도 팀에 큰 도움이 되는 데다, 특기와 병과장비 조합에 따라 혼자서 치료와 탄약보급을 모두 수행하거나 한 역할을 극대화 할 수 있기에 단독 전투 상황에서 오래 버틸 수 있다. 다만 병과 장비 중 살상 장비는 클레이모어 하나 뿐인데다 숙련 무기는 기관단총이라 전반적으로 타 병과에 비해 화력이 약하기 때문에 아군과 부대끼며 아군을 지원을 하는 것이 권장되는 병과.[13][14]

6. 정찰병(Recon)[편집]


파일:bf2042_recon.png
숙련 무기저격소총
스코프 조준 중 숨 참기 딜레이 및 시간 제한 제거
보조무기
전개 및 수납 시간 감소
고유 장비투입 비컨
보조 장비T-UGS
추적 다트 건
C5 폭탄
M18 클레이모어
근접 센서
소프람
투척 장비파편 수류탄
연막탄
EMP 수류탄
소이 수류탄
투척 나이프
소속 스페셜리스트
파일:bf2042_casper_icon.svg비쿠스 "캐스퍼" 반 데일
Wikus "Casper" Van Daele
파일:bf2042_rao_icon.svg나빈 라오
Navin Rao
파일:bf2042_paik_icon.svg백지수
Ji-Soo Paik
파일:bf2042_blasco_icon.svg카밀라 블라스코
Camila Blasco
||

전문 단계 달성 조건
투입 비컨으로 아군 부활 또는 적 탐지
T5T4T3T2T1
5003,0006,00012,00025,000

백병전이 익숙하지 않다면 저격 지점 및 고지 점거 능력을 발휘하는 정찰병을 선택해 보세요. 백지수, 캐스퍼, 라오의 전문 병과인 정찰병은 전면전에는 불리하지만, 자신과 팀에게 유리한 지점을 찾아 반격할 기회를 만들어냅니다. 정찰병의 장비는 적 시스템을 방해하며 적 거점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공유하여 약점을 만들어냅니다.


적 탐지 및 교란에 특화된 병과.

전통적으로 적 탐지와 함께 저격소총을 통한 원거리 저격에 특화된 병과로, 본작에서도 어느 정도 유효하다. 다만 스페셜리스트 특기나 전용 보조 장비들이 탐지/교란 중심인 데다, 저격수 콘셉트인 캐스퍼를 빼면 특기가 근중거리전에서 사용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저격보다는 탐지/교란에 더 초점이 맞춰져있다. 덕분에 성향에 따라 저격소총 숙련 효과를 활용해 전통적인 저격수 플레이도 가능하지만, 자동화기 + C4/근접 센서 조합으로 돌격형 정찰병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30 06:35:20에 나무위키 배틀필드 2042/병과 및 스페셜리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대사의 경우에는 매치 시작 직전이나 뛰어난 성과 화면에서 들어볼 수 있었으나 지나치게 가벼운 농담 위주에다 경박하기 그지 없어 팬들의 비난이 압도적으로 많아, 시즌 1 업데이트를 통해 뛰어난 성과 화면에서 대사 없이 자세만 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.[2] 배틀필드 3와 4의 병과 체계와 동일하다. 다만 각 병과의 역할은 해당 작품 대비 여러모로 달라졌다.[3] 특기를 다른 공용 보조 장비로 교체할 수는 없고, 다른 스페셜리스트의 특기를 장착할 수도 없다.[4] 특기와 마찬가지로 고유 장비를 다른 공용 보조 장비로 교체할 수 없고, 다른 병과의 고유 장비를 장착할 수도 없다.[5] 3.2 병과 재도입 이전에는 보조 장비와 투척 장비에도 병과 제한이 없었고, 병과 고유 장비 시스템도 없었다.[6] 예외적으로 FGM-148 재블린을 제외한 대전차 발사기는 최초 배치 시 한 발 덜 가지고 배치된다. 스페셜리스트 특기는 자동으로 보급/재충전되며, 보급 장비로 재보급이 불가능하다.[7] 여담으로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방탄판은 하드라인에서 메카닉 전용 장비로 처음 등장한 바 있다.[8] 제세동기를 직접 꺼낸 경우 충전 시간에 따라 25~100의 체력으로 소생되고, 상호작용 키를 눌러 소생하는 경우 무조건 최대 충전 딜레이와 함께 최대 체력으로 소생된다.[9] 전작에서 상/하의로 나뉘어져있던 유형이 본작에선 전투복 하나로 합쳐졌다. 이 때문에 발매 전, "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요소 덕분에 클론 스페셜리스트 부대로 인한 위화감은 걱정안해도 된다"는 개발진의 언급과 거리가 멀고 정작 게임 초기에는 복장 가짓수도 많지않아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기대한 팬들로부터 비판이 많았다.[10] 레전더리 등급 외형은 전작의 정예병과 비슷하게 단일 의상으로 취급되어 하위 등급이나 같은 전설 등급의 다른 외형과 조합할 수 없다.[11] 멕케이는 제이크 질렌할, 보리스는 이언 맥셰인, 크로포드는 앤드류 테이트를 닮았다는 의견이 나온 적 있다.[12] 병과 장비는 유탄 발사기가 전부였던 배틀필드 2 시절 돌격병에다 병과의 자체적인 화력을 보강해줄 수 있는 병과 장비, 그리고 전투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스페셜리스트 특기와 특성을 더한 것이 본작의 돌격병이라 할 수 있다.[13] 물론 병과 무기 제한이 없는 본작에선 이전작의 전통적인 보급병처럼 경기관총을 사용할 수 있다. 다만 이전작과 달리 이동중 조준 및 사격간에 딜레이가 생겼고, 아군 치료/소생/보급을 모두 담당하게 되면서 자연히 최전선에서 아군과 부대끼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오히려 상황과 유저의 플레이 성향에 따라 병과 숙련 무기인 기관단총을 드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.[14] 여담으로, 배틀필드 1의 의무병도 아군 치료와 소생을 전담하는 만큼 최전선에서 열심히 뛰어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정작 주무기는 근접전에서 부적합한 반자동 소총이였다. 개발진도 이건 좀 아니다 싶었는지 V에선 기관단총으로 바뀌었다.

관련 문서